본문 바로가기
꿀팁

7월 재산세 납부 방법 및 할인 그리고 절세 관련 개꿀팁!

by Master_JK 2022. 5. 26.

재산세 미리 준비 하고 절세 하기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이죠.

요즘같이 하루가 멀다하고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으로 인해 늘 월급은 통장만 스쳐 지나가는 상황에 또!

세금 납부의 달이 다가 오고 있다니 저부터도 두렵네요.

세금은 납부하는 방법도 복잡하고 어렵고, 얼마나 어떻게 내야 하는지도 항상 헷갈립니다.

미리 이런 부분들을 인지하고 준비 해 놓지 않는 다면, 지출 내역이 오바되어 지갑에 구멍이 더크게

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 재산세의 정보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팁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재산세란 무엇인가?

과세 기준일인 6월1일 보유하고 있었던 재산에 대한 세금을 이야기 합니다.

소유한 재산의 납세지를 관할하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보통징수방법으로 징수하는 지방세에

해당하죠.

재산이라하면 보통 주택,건축물,토지,선박,항공기 등을 포함하고, 재산세 과세대상 중 토지는 소유자별로 합산과세하는 인세이며, 토지를 제외한 과세대상물은 개별과세인물세에 포함 됩니다.

주택은 토지와 건물을 통합, 시가 기준으로 평가하여 주택분재산세로 하고, 나대지나 일반건축물 부속토지 등에 대해서는 토지분재산세로 분류 됩니다.

주택 이외에 건축물에 대해서는 건물분재산세로 하고, 선박과 항공기에 대해서는 기타재산세로 과세 합니다.

 

 

재산세 납부 기한.

1년에 두번 7,9월에 납부.

기한 = 1차 7/16 ~ 7/31일 까지 

          2차 9/16 ~ 9/30일 까지

7월엔 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에 대한 재산세, 9월은 주택,토지에 대한 재산세를 납부 하고,

주택의 경우 7월,9월 두 번 납부할 수 있는데 주택의 경우 한번에 납부하는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7월에 반,

9월에 반씩 납부 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 세액이 20만원 이하인 분들은 7월에 일괄납부 합니다.

 

재산세는 기간안에 납부하지 않으면 3%의 가산금이 발생, 금액에 따라 압류가 될 수도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

1) 인터넷납부

 - 위택스에 접속 하여 납부 Wetax 위택스

 

Wetax 위택스

전국 지방세 신고·납부 서비스 국민의 세금,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하겠습니다. --> 빠른납부 전자납부번호 19자리 또는전자수용가번호 15자리 입력 지방세 쉽고 편리하게 위택스

www.wetax.go.kr

 

2) 은행방문납부

 - 고지서 지참, 가까운 은행 및 ATM기에서 납부 가능.

 

3) ARS납부

 - 재산세 고지서에 적힌 지역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ARS로 납부 가능.

재산세 감면 방법 

1) 주택연금 가입

 - 주택연금은 주택을 소유중이며, 부부 중 1명이 만55세 이상이면 가입 가능,

   주택연금에 가입한 사람은 매년 재산세를 25% 감면 받을 수 있음.

 

2) 임대사업자 등록

 - 다주택자의 경우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임대기간과 전용면적에 따라 재산세를 25%~100%까지 감면 혜택 제공.

 

3) 주택 내진설계 제출

 - 내진 설계를 갖춘 주택이나 건축물은 재산세 감면 혜택 제공.

   주택 규모와 준공 시기에 따라 50% ~ 100% 재산세 감면 혜택 제공.

 

4) 카드사 혜택 확인

 -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및 캐시백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카드사 혜택정보를 알아본 후 재산세 납부.

 

 

 

 

 

 

 

재산세 납부 개꿀팁!

1) 6월1일 피해 납부하기

 - 주택을 매입하는 경우 재산세 과세기준일인 6월1일은 피하는게 좋음.

 - 보유했던 기간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6월1일 시점으로 주택을 보유했는지 여부가 기준이기 때문에

   6월2일에만 매입해도 7,9월 재산세가 부과 되지 않음.

 - 해당 기준일을 알고 6월1일 이후에 매입만 해도 1년치의 재산세를 아낄 수 있으니 꼭 필수로 참고 하기 바람.

 

2) 부부인 경우 재산세 한번에 결제 하기

 -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재산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해당하는 팁!

 - 재산세가 반으로 나누어 청구되면 혜택을 받을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에 재산세 납부는 하나의

   카드로 하시는 것을 추천. (카드사 혜택중 일정 결제 금액 조건을 채워야 혜택이 주어지는 경우에 한함)

 

이상 재산세 납부에 대한 내용에 대해 간단하게, 팩트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월세나 전세로 살땐 이런 부분에 대한 관심도 없었는데 21년에 소소한 실거주 주택을 마련하게

되면서,이젠 확실하게 와 닿는 느낌이네요.

거기에 주택담보대출 등등 대출을 몇군데서 받았는데 금리는 달마다 인상되고 말이죠.

갈수록 주머니가 텅텅 비어 가지만 어쩌겠습니까..

다들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도 들고, 여러모로 힘든 나날들을 보내고 계실거예요.

앞으로 더 좋은 정보들, 소식들 많이 포스팅 하여 소소해도 꼭 절세 방법이나, 지원금 받는 방법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